| 목포 대양산단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지정 연장 중기부, 세제·자금·판로 특례 목포=정해선 기자 |
| 2021년 11월 02일(화) 19:44 |
|
1995년에 도입한 중소기업 특별지원지역 제도는 산업 생산이 낙후한 산단을 지정해 세제·자금·판로 등 특례를 지원한다.
이번 기간 연장으로 목포 대양산단 입주 기업은 향후 2년간 지자체와 제한경쟁 또는 수의계약을 할 수 있고, 공공기관의 제한경쟁입찰 참가자격도 얻게 됐다. 이 밖에도 자금 한도우대 혜택 등을 통해 경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대양산단이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으로 재지정 되기까지 현장 소통을 중심으로 한 김원이 국회의원(목포시·더불어민주당)의 숨은 공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9월까지만 해도 목포 대양산단의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기간 연장은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지난 2016년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지정 이후, 대양산단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김 의원은 평소 목포정담 개최와 현장방문을 통해 경기침체와 코로나19로 인한 대양산단의 어려움을 실제로 접하고 있어 지난 6월 21일 더불어민주당-전남도 간 예산정책협의회를 통해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연장을 건의했다.
이후 국회의원회관에서 목포 대양산단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재지정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고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들에게 지정 연장의 필요성을 피력했다.
대양산단 입주기업 ‘위지트에너지’를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하며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기간 연장의 필요성에 대한 현장 의견도 확인했다.
권칠승 중기부 장관 등 부처 핵심 관계자들과 잦은 연락, 광주전남 중기청장 방문 등 지정 연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온 것으로 알려졌다.
목포 대양산단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 기간 연장은 최근 목포지역 고용위기지역 재연장,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재연장에 이은 성과다.
중소기업특별지원지역은 지역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행중인 제도로, 해당 지역으로 지정되면 정책자금 한도우대, 판로확보 등의 지원을 받게 된다. 현재 목포시 등 전국 13개 산업단지가 지정돼있다.
김 의원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지역의 중소기업 경영위기는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양산단 입주기업의 경영 안정화를 위한 지원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목포=정해선 기자
목포=정해선 기자
